반응형
그다지 재미있고 유용한 내용은 아니지만 예전에 이글루스에 써 놓은 것들 중에 포지셔닝에 관계된 것들은 좀 옮겨 놓기로 했다. 이왕 패션붑 개설해 놨으니 잘 써야지. 2008년 9월 25일에 쓴 글이다.
이전에도 잠시 언급한 바 있지만 일류 브랜드, 준일류 브랜드, 또는 일류급 브랜드가 되고자 하는 패션 브랜드에게 가장 중요한 두 요소는 캐릭터 포지셔닝과 테크닉이다. 이제 막 데뷔한 연예인들이 캐릭터를 정립시켜 다른 경쟁자들과 차별화를 위해 애쓰듯이 우선은 이 험난한 패션신에서 어떤 자리를, 어떻게 점유할 생각인가를 확실히 정해야한다. 이건 넓게 보자면 디자이너나 브랜드의 세계관, 철학과도 관련되어 있다.
물론 진정 최고가 되고 싶고, 그만한 실력이 있다고 자부한다면 루이비통, 에르메스, 구찌 등과의 경쟁은 피할 수 없다. 반드시 같은 소비자들을 놓고 결전이 있어야 하고 그것을 극복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최근 등장한 신진 세력들 대부분이 그런 경쟁을 애초에 포기하고 해프닝과 쇼로 승부를 하려 한다는 점은 실망스럽다. 뭔가 깜짝 놀라게 해줘야 한다는 강박 관념에 시달리고 있지 않나 싶다. 물론 요즘의 소비자들 역시 조급해하긴 마찬가지다. 지금 추세로 보아선 절대 진득하게 기다려줄 태세가 아니고 빨리 뭔가 보여달라고 보채고 있다. 결국 서로에게 매우 힘든 시기다.
그리고 또 하나는 테크닉이다. 기술적인 면에서 완성되지 못해 있다면 정상급에 설 수 없는건 당연하다. 하지만 이게 또 그렇지가 않은게, 장난을 치는 놈들도 너무 많고, 실력도 없으면서 잘난척으로 먹고 사는 놈들도 많다. 이걸 구별해 내려면 소비자도 그만한 실력을 갖춰야 한다. 증권에 애널리스트가 있듯이 패션 에디터 쪽에서 적극적으로 구분하고 알려주면 좋은데 대부분의 패션지는 칭찬(만)이 과하게 많고 구조적으로도 나쁜 소리해봐야 득될 것도 없다. 가끔씩 발생하는 듣보잡 브랜드의 파리나 스위스 국적 세탁에 이은 연예인 협찬이 먹히는 것도 어느 정도는 이런 구조의 덕을 본다고 하겠다.
일단은 유명 브랜드가 되어서 여러 매체를 통해 내 귀 같은 곳까지 들어올 정도라면 이 정도 덕목들은 아마도 가지고 있을거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러면서 개인적으로 직접 보거나, 주위의 평가를 들어보거나, 사용을 해볼 기회를 가지면서 그때 그때 조금씩 생각의 미세 튜닝을 해간다. 예를 하나 들자면 빅토&롤프의 경우 개인적으로는 그다지 확신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 원단을 고르는 능력, 혹은 구입할 능력이 떨어지는 회사를 신뢰하긴 어렵다.
이런 당연한 것들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했을때 나 자신이 어떤 디자이너에 대해 호불호를 가지게 되는 잣대는 크게 폼잡기와 농담하기 둘 사이에 어느 곳에 놓여있나 하는 점이다. 이건 크게는 캐릭터와도 관련있지만 약간 더 미시적인 관점이다. 그리고 이건 또한 어느나라 출신인가가 영향을 미친다. 이후의 이야기는 개인적인 편견을 가득 담아서.
모스키노의 농담이 유난히 튀어보이는 이유는 그가 밀라노(좀 더 확실하게는 밀라노 바로 옆 도시 출신이지만) 출신 디자이너이기 때문이다. 프라다, 구찌, 세르지오, 아르마니의 하나마나한 파티 농담 따위와는 거리가 멀다. 분명 이들도 그런 농담을 할 줄 알겠지만(이태리 출신인데) 폼을 더 중시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같은 이태리 출신이지만 로마의 발렌티노나 시실리의 돌체 앤 가바나같은 경우엔 느낌이 약간 다르다. 밀라노를 벗어나면 농담도 가끔 하면서 살자는 분위기도 있고, 폼잡기의 정의 자체가 밀라노와 다른 경향을 풍긴다.
프랑스 디자이너들은 이에 비해 농담이 잦다. 점잖을 빼는 LV나 에르메스, YSL 마저도 쇼에서나 옷에서 농담은 빠질 수 없는 요소다. 디오르, 피에르 가르댕, JPG 같은 곳들은 말할 것도 없다. 상당히 본격적으로 농을 부려대지만 기본적으로는 멋이 우선이다. 아마도 이 멋 자체에 농담이 포함되어 있지 않나 싶고, 그래서 그토록 자연스럽게 보이는게 아닐까 생각한다. 좀 너무하지 않아 싶은 것도 자주 봐왔지만 요즘은 확실히 예전만 못하다. 다음 시즌 대차대조표를 걱정하는 모습이 너무 눈에 환하게 보이면 역시 실망스럽다. 무시할 수는 없겠지만 그런 감정을 잘 감추는 연극이 중요하지 않나 생각한다.
이에 비해 영국 디자이너들은 어디까지가 농담인지, 어디까지가 폼을 잡을 생각을 하고 있는건지 잘 모르겠다. 그러다보니 버버리마저 재정신이 아닌거 처럼 보이기도 하고, 질스 디콘이 너무 점잖을 빼는거 같이 보이기도 한다. 이런 경향은 미국쪽으로 가면 더 심해지는데 아즈루엘, 바바토스 같은 이들은 대관절 생각 따위를 하고는 있는건지 의심스럽다. 폼도 안나고, 재미도 없다. 요새 분발하고 있는 미국의 릭 오웬이나 톰 브라운 역시 뭔가 의심스럽기는 매한가지인데 그는 이 의심의 경지를 높일 수 있는 만큼 높여 아예 그걸 넘어서려고 하고 있는거 같다. 그렇게 보면 또 굉장한 게 시종일관 농담이면서 오직 농담만 해댄다. 쇼도, 매장의 옷들도, 그리고 붙어있는 가격 태그(이게 최고의 농담이다) 마저도 아주 퓨어하게 농담 같다.
벨기에 디자이너들은 확실히는 잘 모르겠는데 너드 풍이라고나 할까. 아주 비상한 농담을 해대긴 하는데 문제는 다들 좀 비슷비슷하다. 유독 튀는게 있다면(이 둘은 튀어도 상당히 튀고 있다) 마르탱 마르지엘라와 앤 드뮐뮈스터 정도. 덴마크(비슷한 동네 같아서 같이 쓰긴 하는데 양쪽다 아마 싫어하겠지만)의 W<처럼 막나가는 사람은 아직 없는거 같다. 어쨋든 가격대비 효용은 엄청나게 높기도 하고, 엄청나게 낮기도 하다. 구입한 자의 센스와 어떻게 결합하느냐가 중요하게 보인다.우리나라에 대한 이야기는 좀 곤란하긴한데, 농담도, 폼도 잘 모르겠다.
그건 그렇고 이번 시즌 구찌는 꽤 재미있었다. 버나드 윌헴은 적어도 컬러풀하다는 점에 매우 특화되어 있다는건 맘에 든다. 그렇다고 좋다는건 아니고.
이전에도 잠시 언급한 바 있지만 일류 브랜드, 준일류 브랜드, 또는 일류급 브랜드가 되고자 하는 패션 브랜드에게 가장 중요한 두 요소는 캐릭터 포지셔닝과 테크닉이다. 이제 막 데뷔한 연예인들이 캐릭터를 정립시켜 다른 경쟁자들과 차별화를 위해 애쓰듯이 우선은 이 험난한 패션신에서 어떤 자리를, 어떻게 점유할 생각인가를 확실히 정해야한다. 이건 넓게 보자면 디자이너나 브랜드의 세계관, 철학과도 관련되어 있다.
물론 진정 최고가 되고 싶고, 그만한 실력이 있다고 자부한다면 루이비통, 에르메스, 구찌 등과의 경쟁은 피할 수 없다. 반드시 같은 소비자들을 놓고 결전이 있어야 하고 그것을 극복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최근 등장한 신진 세력들 대부분이 그런 경쟁을 애초에 포기하고 해프닝과 쇼로 승부를 하려 한다는 점은 실망스럽다. 뭔가 깜짝 놀라게 해줘야 한다는 강박 관념에 시달리고 있지 않나 싶다. 물론 요즘의 소비자들 역시 조급해하긴 마찬가지다. 지금 추세로 보아선 절대 진득하게 기다려줄 태세가 아니고 빨리 뭔가 보여달라고 보채고 있다. 결국 서로에게 매우 힘든 시기다.
그리고 또 하나는 테크닉이다. 기술적인 면에서 완성되지 못해 있다면 정상급에 설 수 없는건 당연하다. 하지만 이게 또 그렇지가 않은게, 장난을 치는 놈들도 너무 많고, 실력도 없으면서 잘난척으로 먹고 사는 놈들도 많다. 이걸 구별해 내려면 소비자도 그만한 실력을 갖춰야 한다. 증권에 애널리스트가 있듯이 패션 에디터 쪽에서 적극적으로 구분하고 알려주면 좋은데 대부분의 패션지는 칭찬(만)이 과하게 많고 구조적으로도 나쁜 소리해봐야 득될 것도 없다. 가끔씩 발생하는 듣보잡 브랜드의 파리나 스위스 국적 세탁에 이은 연예인 협찬이 먹히는 것도 어느 정도는 이런 구조의 덕을 본다고 하겠다.
일단은 유명 브랜드가 되어서 여러 매체를 통해 내 귀 같은 곳까지 들어올 정도라면 이 정도 덕목들은 아마도 가지고 있을거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러면서 개인적으로 직접 보거나, 주위의 평가를 들어보거나, 사용을 해볼 기회를 가지면서 그때 그때 조금씩 생각의 미세 튜닝을 해간다. 예를 하나 들자면 빅토&롤프의 경우 개인적으로는 그다지 확신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 원단을 고르는 능력, 혹은 구입할 능력이 떨어지는 회사를 신뢰하긴 어렵다.
이런 당연한 것들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했을때 나 자신이 어떤 디자이너에 대해 호불호를 가지게 되는 잣대는 크게 폼잡기와 농담하기 둘 사이에 어느 곳에 놓여있나 하는 점이다. 이건 크게는 캐릭터와도 관련있지만 약간 더 미시적인 관점이다. 그리고 이건 또한 어느나라 출신인가가 영향을 미친다. 이후의 이야기는 개인적인 편견을 가득 담아서.
모스키노의 농담이 유난히 튀어보이는 이유는 그가 밀라노(좀 더 확실하게는 밀라노 바로 옆 도시 출신이지만) 출신 디자이너이기 때문이다. 프라다, 구찌, 세르지오, 아르마니의 하나마나한 파티 농담 따위와는 거리가 멀다. 분명 이들도 그런 농담을 할 줄 알겠지만(이태리 출신인데) 폼을 더 중시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같은 이태리 출신이지만 로마의 발렌티노나 시실리의 돌체 앤 가바나같은 경우엔 느낌이 약간 다르다. 밀라노를 벗어나면 농담도 가끔 하면서 살자는 분위기도 있고, 폼잡기의 정의 자체가 밀라노와 다른 경향을 풍긴다.
프랑스 디자이너들은 이에 비해 농담이 잦다. 점잖을 빼는 LV나 에르메스, YSL 마저도 쇼에서나 옷에서 농담은 빠질 수 없는 요소다. 디오르, 피에르 가르댕, JPG 같은 곳들은 말할 것도 없다. 상당히 본격적으로 농을 부려대지만 기본적으로는 멋이 우선이다. 아마도 이 멋 자체에 농담이 포함되어 있지 않나 싶고, 그래서 그토록 자연스럽게 보이는게 아닐까 생각한다. 좀 너무하지 않아 싶은 것도 자주 봐왔지만 요즘은 확실히 예전만 못하다. 다음 시즌 대차대조표를 걱정하는 모습이 너무 눈에 환하게 보이면 역시 실망스럽다. 무시할 수는 없겠지만 그런 감정을 잘 감추는 연극이 중요하지 않나 생각한다.
이에 비해 영국 디자이너들은 어디까지가 농담인지, 어디까지가 폼을 잡을 생각을 하고 있는건지 잘 모르겠다. 그러다보니 버버리마저 재정신이 아닌거 처럼 보이기도 하고, 질스 디콘이 너무 점잖을 빼는거 같이 보이기도 한다. 이런 경향은 미국쪽으로 가면 더 심해지는데 아즈루엘, 바바토스 같은 이들은 대관절 생각 따위를 하고는 있는건지 의심스럽다. 폼도 안나고, 재미도 없다. 요새 분발하고 있는 미국의 릭 오웬이나 톰 브라운 역시 뭔가 의심스럽기는 매한가지인데 그는 이 의심의 경지를 높일 수 있는 만큼 높여 아예 그걸 넘어서려고 하고 있는거 같다. 그렇게 보면 또 굉장한 게 시종일관 농담이면서 오직 농담만 해댄다. 쇼도, 매장의 옷들도, 그리고 붙어있는 가격 태그(이게 최고의 농담이다) 마저도 아주 퓨어하게 농담 같다.
벨기에 디자이너들은 확실히는 잘 모르겠는데 너드 풍이라고나 할까. 아주 비상한 농담을 해대긴 하는데 문제는 다들 좀 비슷비슷하다. 유독 튀는게 있다면(이 둘은 튀어도 상당히 튀고 있다) 마르탱 마르지엘라와 앤 드뮐뮈스터 정도. 덴마크(비슷한 동네 같아서 같이 쓰긴 하는데 양쪽다 아마 싫어하겠지만)의 W<처럼 막나가는 사람은 아직 없는거 같다. 어쨋든 가격대비 효용은 엄청나게 높기도 하고, 엄청나게 낮기도 하다. 구입한 자의 센스와 어떻게 결합하느냐가 중요하게 보인다.우리나라에 대한 이야기는 좀 곤란하긴한데, 농담도, 폼도 잘 모르겠다.
그건 그렇고 이번 시즌 구찌는 꽤 재미있었다. 버나드 윌헴은 적어도 컬러풀하다는 점에 매우 특화되어 있다는건 맘에 든다. 그렇다고 좋다는건 아니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