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션718

패션 디자이너, 미술관 전시 며칠 전에 뉴욕의 the Mets에서 하는 레이 카와쿠보, 꼼 데 가르송 전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링크). 역시 큰 전시고 레이 카와쿠보가 외부 노출이 잦은 디자이너가 아니다 보니 이번 전시를 두고 여러가지 인터뷰, 조명 등이 이뤄지고 있다. 레이 카와쿠보는 처음 시작할 때부터 소위 "예술적"인 옷을 만드는 디자이너로 유명했고 그래서 미술관에 부르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하지만 자신은 예술가가 아니라 "비지니스우먼"이라고 하며 이런 것들과 선을 그어 왔었다. 올해 이렇게 대형 전시가 이뤄진 걸 두고 생각이 바뀐 건가, 왜 바뀐 건가 궁금해 했었는데 일단 대답은 이건 "레이 카와쿠보가 the Mets에서 하는 전시가 아니라 the Mets에서 꼼 데 가르송의 옷을 가지고 하는 전시"라고 말했다. 뭐 이런.. 2017. 5. 14.
비비안 웨스트우드, 돌체 앤 가바나, 샤넬 그리고 표절 돌체 앤 가바나의 스테파노 가바나가 어제 갑자기 인스타그램에 자기네들이 2003년 컬렉션에서 선보였던 목걸이가 1989년 비비안 웨스트우드 컬렉션에 나온 목걸이를 베낀 거라고 포스팅을 남겼다. 여기서 왼쪽이 1989 비비안 웨스트우드, 오른쪽이 2003 돌체 앤 가바나다. 뭐 가져다 쓴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똑같이 생겼다는 건 누구나 알 수 있는데 15년이 지나서 갑자기 고백(?)한 거다. 그러면서 자기네들이 멍청하고 무식해서 그랬다고 미안(SORRY)하다는 이야기를 남겼다. 이 포스팅은 여기(링크). 하지만 난데없이 보이는 이런 고백은 괜히 나온 게 아니다. 이번 샤넬 크루즈 컬렉션에 할 말이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이것. 왼쪽이 2014 돌체 앤 가바나, 오른쪽이 이번 샤넬이다. 뭐 이런 것도. 그.. 2017. 5. 6.
Met Gala 그리고 레이 카와쿠보 멧 갈라 시즌이라 트위터 등 SNS에 수많은 드레스들이 올라오고 있다. 간단히 멧 갈라에 대해 써 보자면 : 뉴욕에 있는 Metropolitan Museum of Art(The Met이라고들 한다)에 있는 코스튬 인스티튜트에서 매년 열리는 전시회가 있는데 그 오프닝 행사다. 5월 첫째 주 월요일에 열리는데 뉴욕 사교계 최대 행사 중 하나로 예술계, 패션계, 영화계, 음악계 등등 인사들이 대거 참여하고 또한 기금 모금이 잘 되는 최대 행사 중 하나로 2015년의 경우 1200만 불 정도를 모았다고 한다. 1946년부터 시작했는데 1995년부터 보그 미국의 안나 윈투어가 이 행사를 이끌고 있다. 2014년에 오픈한 안나 윈투어 코스튬 센터라는 게 있어서 거기서 전시를 하는데 자세한 사항은 여기(링크)를 참조.. 2017. 5. 2.
겐조의 잡지 Folio 겐조가 최근 들어 이것저것 일을 벌리고 있는 거 같은데 그중 하나가 잡지 Folio(폴리오)다. 하이 패션은 실로 인스타그램의 시대고 유튜브에 트위터에 사이트에 다들 난리인데 허를 찔러보는("찌르는"이 아니다) 듯하게 보인다고나 할까... 여튼 뭔가 막 내놓고 있는데 눈에 그렇게 잘 들어오진 않는다. 내가 보는 (좁은) 시선이 겐조를 벗어난 걸 수도 있고, 그래서 반응이 꽤 있는데 못 느끼고 있는 걸 수도 있고, 요즘 스트리트 풍 하이 패션이 워낙 요란 시끌 웅장하니까 눈에 그렇게 띄지 않는 걸 수도 있고... 등등의 생각이 든다. 여튼 폴리오는 1년에 4번 나오는 거 같고 겐조의 최근 룩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춘다. 흥미로운 점이라면 첫 번째 이슈가 아프리카와 그곳의 LGBT에 시선을 두고 있다는 거.. 2017. 5. 1.
누가 내 옷을 만들었는가 #whomademyclothes 트위터 등 SNS에서 #whomademyclothes라는 해시태그로 캠페인이 진행 중인데 4월 26일부터 4월 30일까지가 Fashion Revolution Week이기 때문이다. 패션과 레볼루션이 들어간 거창한 이름에 비해 아직은 누구나 다 알만한 행사는 아니고 레볼루션 양쪽에 패션 위크라는 말이 들어있지만 패션쇼를 하는 건 아닌데 여하튼 공식 홈페이지인 여기(링크)를 참조. 이 사진은 옷의 라벨을 앞으로 뺀 공식 홈페이지의 이미지. Fashion Revolution은 영국에 기반을 둔 패션 NGO로 패션 산업의 노동자와 환경 양쪽에 대해 보다 윤리적인 조건을 만들기 위해 만들어진 단체다. 계기는 2013년 4월 24일에 일어난 방글라데시 다카의 라나 플라자 붕괴 사건이다. 방글라데시 공장 사고 등 스.. 2017. 4. 25.
이브 생 로랑의 1960년 그리고 군대 뭐 좀 뒤적거리다가 옛날 일화 하나. 이브 생 로랑에게 1960년은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었기에 한 번 돌아본다. 이브 생 로랑은 1936년 프랑스령 알제리 오랑 생으로 17살에 파리로 가서 패션 공부를 시작했고 1957년 21세에 당시 최고의 브랜드 디올의 헤드 디자이너가 된다. 1958년에 트라페즈 룩, 1960년에는 비트 룩을 선보이면서 디올을 경제적 위기에서 살려냈고 자신도 스타 디자이너가 되었지만 동시에 비난도 있었고 비트 룩의 경우 디올의 기존 구매층이 받아들이기에는 너무 급진적이기도 했다. 뭐 그런 상황이었는데... 알제리는 1954년 프랑스에 대항해 독립 전쟁을 시작했고 당시 전시 상황이었다(1962년에 전쟁이 끝나고 알제리는 독립한다). 그리고 이브 생 로랑도 징집이 되는데 당시 디올의 오.. 2017. 4. 18.
보그 UK에 새 편집장이 임명되었다 영국 보그에 에드워드 에니풀이 발탁되었다. 어릴 적 부모를 따라 가나에서 런던으로 왔고, 패션 에디터로 일을 시작했고, 뉴욕에서 일하고 있었다. 물론 그는 오랜 경력과 함께 패션, 영화, 음악계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고 OBE도 받았다. 하지만 "남성"이자 "흑인"으로는 저 자리에 처음이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1916년 영국 보그가 창간한 이래 최초 남성 편집장이고, 남성이 처음이므로 당연히 게이 편집장으로도 최초다(링크). 그리고 모든 보그 세계판을 통틀어 최초 흑인 편집장이다. 참고로 보그는 22개의 글로벌 에디션이 있는데 최초 남성 편집장은 2013년 보그 태국의 Kullawit Laosuksri다. 그리고 현재 3명이 있는데 한국 보그의 신광호(2016년부터), 보그 이탈리아의 에마뉴엘레 파.. 2017. 4. 12.
루이 비통과 비시 정권 프랑스의 극우 정당 후보 마린 르펜이 나치 정권 치하에서의 유대인 학살에 프랑스의 책임은 없다고 발언해 문제가 되고 있다(링크). 기사에도 나와있지만 잘 알려진 사건으로 벨디브 사건이 있는데 1942년 비시 정권 하 프랑스 경찰이 유태인 1만 3천명을 검거해 벨로드롬 디베르(벨디브)라는 사이클 경기장에 수용한 후 나치에 넘겼고 이들은 아우슈비츠 수용소로 이감되었다. 이 뉴스를 보고 생각났는데 비시 정권은 루이 비통과도 약간 관련이 있었다. 10년 전쯤 스테파니 본비치니라는 분이 이 부분을 밝혔는데(링크) "재밌는" 건 비통에 1930년부터 1945년까지의 문서가 "불에 타" 버려서 없다는 거다. 이 저자도 비시 정권 하 프랑스를 연구하다가 이런 대답을 듣고 뭔가 의심스러워 연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194.. 2017. 4. 11.
후드 바이 에어(HBA)가 휴지기를 가진다 후드 바이 에어가 휴지기를 가지기로 결정했다. 게토고딕 서브컬쳐와 젠더리스 기반으로 순식간에 이목을 집중시켰고 이후 갑작스러운 파리 패션위크 진출을 하더니 이번에는 휴지기(hiatus)라는 다른 브랜드에서 보기 어려운 단계로 접어들었다. 이번 2017FW 패션위크가 연기에 이어 갑자기 취소되면서 망해 버렸나 이런 생각을 했는데 여튼 오피셜에 의하면 휴지기다. 이 브랜드의 두 축은 쉐인 올리버와 레일라 웨인라웁인데 각자 개인의 활동에 보다 집중한다. 쉐인 올리버는 헬무트 랑과의 캡슐 컬렉션을 선보일 예정이고 레일라 웨인라웁은 5월에 열리는 휘트니 비엔날레에 참가가 예정되어 있다. 이렇게 보면 패션이란 정말 이들이 삶을 통해 표현하려는 한 부분 임을 알 수 있다. 옷을 비롯해 음악, 예술 등등이 모두 비슷한.. 2017.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