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695 세계의 확장, 카피탈과 보디의 예 지용킴의 2024SS 이야기(링크)를 한 김에 생각나서 덧붙여 보는 세계관 확장의 이야기. 딱 들어맞는 건 아니지만 그냥 떠올라서 카피탈(Kapital)과 보디(Bode)다. 중고 재현으로 시작된 카피탈은 청바지와 데님에서 곧바로 떨어져 나가며 천연 염색이라는 전통 장인의 이미지를 로고의 손과 모노즈쿠리라는 개념으로 내면화하면서 거기에 보로, 와비사비를 섞어 미국의 보헤미안 히피를 끼얹는다. 그리고 이렇게 시작된 거의 거지의 옷은 에릭 크바텍의 룩북과 함께 전세계에서 비슷한 생각을 하고 살아가는 자발적 혹은 강요된 배거본드와 방랑자와 카피탈 사이에서 발란스를 찾는다. 완성된 세계의 모습은 독특하고 요란하지만 익숙하다. 낡고 기운 흔적은 모사가 아니라 실제고 거기에 생활이 없을 뿐이다. 결론적으로 미디어를.. 2023. 7. 17. JiyongKim 전시, 2024 SS 지용킴의 전시와 2024 SS 프리젠테이션을 한다길래 구경을 다녀왔다. 스페이스 이수, 이수화학 1층에 있는 전시 공간인데 이수에 있는 게 아니라 신반포 아래에 있으니 주의. 말하자면 서래 마을 입구다. 낯선 동네에서 전시를 보고 나면 이제 어쩌지 싶을 때가 꽤 있는데 서래 마을로 스르륵 들어가도 좋을 듯. 근처에 문영희 이마쉬드리비 매장이 있는데 닫혀 있었다. 새것이 아닌 듯한 걸 만들어 내는 일은 꽤 매력이 있다. 예를 들어 마찰에 의한 페이딩, 핸드메이드 염색 등등. 심지어 미우미우 같은 브랜드에서도 신발에 낡음 가공을 입히는 시대지만 여전히 곱게 진열되어 있는 걸 보면 낯선 이미지가 있다. 우선 새것이 아닌 것을 만든다는 건 그 자체로 현대적이다. 또한 획일적인 공산품에 우연성과 개별성을 불어 넣.. 2023. 7. 16. 랄프 로렌의 버튼 셔츠들 중고 매장에서 인기가 많은 제품으로 랄프 로렌의 셔츠가 있다. 폴로 셔츠는 단추에 칼라 달린 티셔츠라 폴로 셔츠라고 하면 헷갈리기 때문에 일단 버튼 셔츠라고 달았다. 셔츠와 버튼 다운(BD) 셔츠가 있긴 하다. 아무튼 정식 매장에서도, 아울렛에서도 인기가 많고 가품 제조로도 인기가 많다. 아무튼 엄청나게 많아. 그렇지만 요새는 버튼 셔츠를 거의 입지 않기 때문에 그다지 필요가 없긴 한데 아주아주 가끔 셔츠나 입어볼까... 싶은 날이 있기는 하다. 그리고 높은 완성도, 괜찮은 재질, 공산품 특유의 동일성 등 보고만 있어도 재미있는 부분도 많다. 폴로 셔츠의 라벨 쪽으로 보면 보통 제품 라인과 재질이 적혀 있다. 언젠가부터 폴로 셔츠라고 하면 BLAKE에 L사이즈만 사고 있는데 오버사이즈에 훌렁훌렁입기 좋아.. 2023. 7. 14. 옐로 베스트 프로테스트 워크웨어와 시민 운동과의 연결 지점에 대해 이야기를 한 김에(링크) 비교적 최신 소식 중 하나로 옐로 베스트 시민 운동. 2018년 즈음 프랑스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에 (Le) Mouvement des Gilets jaunes라고 한다. 뭐 간단히 말해 노란 안전 조끼 시위. 이게 첨예한 사회, 정치적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에 아주 대략적으로 이야기를 해보자면 : 탄소 문제에 대한 대처, 하지만 유럽은 디젤 차 중심 - 환경 오염 문제로 세금 증가, 교통 사고 등 문제로 2018년 시골길 제한 속도를 90km/h에서 80km/h로 감속 -> 시골 주민의 자동차 필요성을 이해하지 못한다! 이런 이유로 불만이 폭증했다. 조금 더 윗 단계 이야기를 해보자면 다국적 기업이 초래한 환경 문제의 비용을 노동 계층과 .. 2023. 7. 10. 50, 60년대 데님, 미국 흑인 인권 운동 얼마 전 이야기했던 디올 티어스(링크)에 보면 1950, 60년대 흑인 시민 운동과 데님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솔직히 50년대의 흔적에 대해서는 자세히 모르지만 60년대는 주의해서 볼 만한 확실한 움직임이 몇몇 있다. 청바지, 데님의 역사를 보면 캘리포니아 광산 - 카우보이 - 헐리우드 배우 - 청년 문화 이런 식의 줄기가 보통이다. 하지만 이건 말하자면 백인 위주의 서술이다. 캘리포니아 광산에서 카우보이로 넘어가던 시절 남부에서는 차별 정책 아래 흑인 일꾼들이 데님 작업복을 입었다. 그리고 1950년대 로자 파크스의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사건이 일어났고 이후 아프리카 계 미국인의 인권 개선을 위한 광범위한 시민 운동이 시작된다. 1950년대 인권 운동이 본격화되면서 시위에 참여하는 흑인들이 .. 2023. 7. 10. 스레드와 블루스카이 SNS에 큰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 이것저것 쓰다가 패션붑닷컴, 트위터, 인스타그램으로 고착이 되어 있었는데 이게 과연 지속될 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고 스레드, 블루스카이 등이 본격 런칭하며 이 절호의 기회를 노리고 있다. 트윗덱 때려 부순거 보고 진짜 없던 정내미도 떨어졌는데 일론 머스크와 트위터 탓하고 있어봐야 소용없는 일이고 생각해 보면 미래는 원래 고정되어 있지 않고 부유하듯 그때그때 적당한 걸 이용하며 열심히 살면 된다. 누구도 내가 뭘 하는 지 모를 수 있다, 그럼 어떡하지, 알릴 구멍이 작게라도 있어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지만 바뀌면 바뀌는 대로, 사라지면 사라진 대로 살아남을 궁리를 해야하겠지. 뉴스레터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긴 한데 정기적으로 뭔가 보내야 한다는 부담감이 좀 있고 .. 2023. 7. 8. 디올 티어스 팝업이 열린다 최근 주요 고급 패션 브랜드들이 과연 이 시대의 패셔너블함을 잘 대변하고 이끌어가고 있는가 하는 점에 대해 약간의 의구심이 있는 상황이긴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누구보다 가시성이 높다는 건 분명한 일이다. 어디서 뭔가를 하면, 그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볼 만한 이유는 있다. 디올이 성수동에서 디올 + 데님 티어스(링크) 콜라보인 디올 티어스 팝업을 연다. 7월 13일부터 22일까지. 디올 성수동에서 뭔가를 계속 하네... 그리고 데님 티어스의 트레메인 에모리가 슈프림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갔다는 이야기를 여기서 한 적이 있다(링크). 어제 B33 스니커즈 나온다고 카운트다운 하는 걸 봤는데(링크) 순식간에 다 팔리고 그런 건 아닌 듯. 그냥 B33이 있고 고유번호가 있는 리미티드 B33이 있고 그렇다. 리.. 2023. 7. 7. 겨울 패딩, 마음에 들면 사세요 요즘 일하면서 라디오(보이는 라디오를 유튜브로)를 종종 듣는 경우가 있는데 고민 상담 같은 게 나왔다. 작년에 사고 싶은 패딩이 있었는데 재고가 2벌 나왔다 - 근데 얼마 있다가 7% 세일을 한다 - 그 사이에 없어지지 않을까 - 지금 사버릴까 말까 이런 내용. 진행자가 두 명 이었는데 둘 다 사지 말라는 대답. 사실 합리적인 답이긴 하다. 여름에 패딩 사라고 하지만 그게 쉬운 일이 아니다. 받아도 입어보기도 덥고 짜증나서 입어보기도 어려움. 겨울이 오면 취향이 바뀔 지도 모른다, 여름이 깊어가고 2개가 계속 팔리지 않으면 더 싸게 나올 수도 있다 등등. 하지만 개인적인 의견은 사버려라. "어떤 옷이 마음에 든다"는 생각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그런 일이 자주 오진 않는다. 물론 보는 옷마다 저거 마음에.. 2023. 7. 6. 톰 브라운 오트쿠튀르 톰 브라운 오트쿠튀르가 있었고 카리나, 다이앤 키튼, 카디비 사진이 화제가 되었다. 옆에는 안나 윈투어가 있었음. 톰 브라운, 오트쿠튀르 둘 다 그 특유의 반현실적 과장됨 때문에 약간 시큰둥한 편이긴 한데 저 사진만 가지고도 나름 얻을 걸 얻었다 싶다. 카리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사진이 올라와 있길래 이걸로... 세 명 다 시계가 붙어있는 동물 가방을 들고 있는 게 재미있었음. 아무튼 나름 신경 쓴 배치가 아닌가 싶다. 나이, 인종 상관없이 누구든 톰 브라운의 오트쿠튀르를 입으면 각자의 멋짐이 흘러나온다. 물론 오트쿠튀르니까 아무나 입는 건 아니고 저 정도의 커리어는 가지고 있어야 겠지. 가짜 관객들과 비둘기. 2023. 7. 5.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3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