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718 라프 시몬스가 캘빈 클라인을 나간다 며칠 전에 캘빈 클라인의 모기업 PVH의 CEO가 캘빈 클라인의 투자 대비 매출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는 기사가 나간 적이 있다. 트윗에도 잠깐 썼었는데(링크) 이상 기류가 11월 쯤부터 나돌기 시작했고 그걸 드러내는 순간 라프 시몬스가 나가는 게 발표되었다. 결정 절차가 상당히 빠르군. 205W39NYC로 리뉴얼하는 데 돈이 너무 든 건가 싶기는 한데 아무튼 그렇게 되었다. 라프 시몬스 - 캘빈 클라인의 좋았던 점은 이 미국을 대표하는 패션 브랜드를 벨기에 출신 디자이너의 유럽풍이라고 해야 하나.. 아무튼 이상한 필터를 거치면서 상당히 낯은 익지만 어딘가 기묘한 뷰가 만들어졌다는 점이다. 얼마 전에 누가 피자맨을 죽였는가라는 영화에 대해 짧은 이야기를 쓴 적이 있는데(링크) 바로 그 느낌과 상당히 흡사.. 2018. 12. 22. 2018 패션 어워드 수상자들 영국의 패션 어워드 2018 수상자들이 발표되었다. 수상자들 명단이 어딘가 미묘하게 재미있는데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는 지금의 모습이 그대로 보이는 거 같다. 그렇게 보인다는 거 자체가 또 좋은 점이기도 하고. 서식스 공작부인(Duchess of Sussex), 그러니까 메건 마클이 깜짝 등장해 올해의 여성복 디자이너, 지방시의 클레어 웨이트 켈러에게 시상을 했다. 위 사진은 여기(링크)에서. 액세서리 디자이너 : Balenciaga의 뎀나 바잘리아브랜드 : Gucci선구자(Trailblazer) : 킴 존스브리티시 디자이너 남성복 : Craig Green의 크레이그 그린브리티시 디자이너 여성복 : Givenchy의 클레어 웨이트 켈러브리티시 이머징 탤런트 남성복 : A-Cold-Awall의 .. 2018. 12. 13. 비비안 웨스트우드 + 버버리 협업 컬렉션이 나왔다 처음 이 프로젝트가 공개되었을 때 "??" 만 생각났던 비비안 웨스트우드와 버버리의 협업 컬렉션이 공개되었다.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비비안 웨스트우드와 안드레아스 크론탈러, 버버리의 리카르도 티시가 협업했고 케이트 모스 등이 나온 광고 캠페인을 데이빗 심스가 촬영했다. 이 컬렉션의 목적은 열대 우림과 환경 변화에 대한 책임을 연대하는 자선 단체 "Cool Earth"를 알리고 후원하는 것. 마지막 사진의 티셔츠가 비비안 웨스트우드가 친필로 썼다는 Cool Earth 헌정 텍스트. 컬렉션(링크)이 나오기 전에 뭐가 나올까 곰곰이 생각해 봤었는데 사실 위의 모습은 예상하지 못했다. 전체적으로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1970~1994년 제품 중에 셀렉션을 한 다음 버버리의 클래식 체크로 덮었다고 보면 된다. 물론 .. 2018. 12. 7. 어느 쪽이 더 웃기는가 며칠 전 패션 칼럼에 유럽 패션에서 미국 패션으로 이동, 합침, 변화에 대한 이야기를 썼다(링크). 사실 보낸 제목은 VS.였고 격돌, 대체 이런 느낌을 담고 싶었는데 "결합"이라는 비교적 평화로운 단어를 선택해 주셨다. 이 대체는 이제 시작이고, 대체가 이뤄질지 실패할지 아직 모르는 일이고, 그 대체의 위력이 하이 패션의 모습을 얼마나 바꿔놓을지 알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호들갑을 떨 필요까지는 없는 게 맞을 지도 모른다. 사실 호들갑을 좀 떨고 싶었는데 그러기엔 진행되고 있는 상황 중에 할 이야기, 특히 결정적인 장면 같은 게 많이 있는 것도 아닌 게 현실이고. 아무튼 이 대체는 주의깊게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꽤 많은 걸 담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젠틀한 복식, 포멀 웨어 이런 모든 것들은 영국.. 2018. 12. 6. 발망도 뉴 로고 대열에 합류했다 발망도 새로운 로고 대열에 합류했다. 발망, 발맹 여러가지로 쓰니까 검색의 편의를 위해 Balmain 언급을 한 번씩... 공식적으로 뭐라고 쓰는 지 궁금해서 한국 홈페이지(링크)를 뒤저봤는데 나름 철저하게 Balmain을 고수하고 있다. Balmain은 Balmain일 뿐인 건가. 아무튼 새 로고는 이렇게 생겼다. 뭐랄까... 요즘 분위기다. 폰트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가만히 보고 있자니 로고의 B와 BALMAIN의 B가 조금 다르게 생긴 점과 PARIS에서 R이 넘어질 거 같다는 게 약간 신경쓰인다. 로고는 BALMAIN PARIS에서 BP를 딴거라고 한다. 빠리 바게트가 아니라 바게트 빠리. 새 로고는 2019 프리 폴에서 새 로고 사용 제품들과 함께 선보였다. 티셔츠랑 뭐 그런 것도 있다. B가.. 2018. 12. 6. 헤비듀티 번역서가 나왔고 관련된 북토크를 합니다 여기에서도 몇 번 이야기한 적이 있는 고바야시 야스히코의 고전(이라고 해도 되겠죠...) 헤비듀티의 번역서(번역 황라연)가 워크룸에서 나왔습니다. 1977년에 나온 책이 일본에서 2013년에 "복각"되었고 그걸 번역했다고 합니다. 2013년이면 꽤 적절한 시점 같습니다. 책은 여기(링크). 한국에도 조금 더 일찍 나왔으면 좋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이 있긴 한데 이런 종류의 번역서가 많이 없는 나라이긴 합니다. 많이 읽어주시면 더 재미있는 책들, 꼭 읽어두면 좋은 책들의 번역도 많이 나오지 않을까요! 뭐 그런 의무감에서 뿐만 아니라 패션, 히피 문화, 서브 컬쳐, 백패킹, 셀프 에이드, 캠핑, 복각 패션, 듀러블한 옷, 올드 패션드 옷 등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분명 읽을 만한 책입니다. 꼭 산속으로 가.. 2018. 11. 13. 리카르도 티시의 버버리, B 시리즈 아무래도 이번 컬렉션이 끝나고 에디 슬리먼의 셀린느 이야기가 많지만 리카르도 티시의 버버리 이야기가 그보다는 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논쟁적이거나, 뭔가 새로운 걸 하거나 하는 건 아니지만 세상에 있는 것 중 쓸만한 것들을 취합해 매우 전투적으로 이 시장에 임하고 있다. 토마스 버버리 모노그램을 여기저기 뿌리는 걸 보고(링크) 대체 뭐하는 걸까 했었지만 기본적으로 매우 적극적이다. 티시의 버버리는 크게 두 개의 축으로 달리고 있다. 우선 시즌 컬렉션. 이번 컬렉션의 경우 버버리 특유의 트래디셔널함과 영국의 서브 컬쳐를 섞어 놨다. 지금이 스트리트 패션 유행은 분명 그 축이 미국에 있고 그 이유는 세계화된 미국의 일상복에 있다. 세계 어딜 가도 프린트 티셔츠, 청바지, 나이키 운동화를 신는다. 즉 스트.. 2018. 10. 20. 2019 SS, 옷에 인간을 가둬놓는 방식에 대해서 마이웨이를 걸으면서 옷에 인간을 가둬놓는 사람들이 있다. 또 럭셔리를 풍자하거나, 아이러니를 붙잡아 올리기도 한다. 이것들은 다들 조금씩 다르지만 비인간을 지향하고 인간이 하고 있는 일을 우습게 보면서 동시에 그런 태도를 럭셔리로 판매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뎀나의 발렌시아가는 계속 럭셔리, 하이 패션 그 자체를 조롱과 과장의 대상으로 삼으면서 그런 태도를 하이 패션으로 만들어 내고 있다. 비싼 걸 놀리는 비싼 거라는 모순은 비교 우위를 확보하는 듯 하지만 결국은 자신을 조롱 대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최선의 유머이기도 하고 최악의 유머이기도 하다. 이건 붕괴를 앞당길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하다는 이야기를 예전에 쓴 적 있지만(링크) 무너짐을 이용해 찰나의 순간에도 돈을 번다는 점은 굉장한 생명력을 보.. 2018. 10. 2. 이 길의 끝에는 과연 무엇이 있을까 스트리트 패션이 하이 패션 안에서 자리를 잡기 시작한 것도 벌써 몇 시즌이 지났다. 서로 다른 길을 가던 것들을 여러 디자이너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해결 방식을 내놨고 이제 어느덧, 혹은 아마도 표면적 통합 방식에 대한 접근은 마무리 단계인 거 같다. 물론 이런 식의 결합이 옳은 건가 같은 건 의미가 별로 없다. 패션에 그런 게 있을리가 있나. 보는 사람들을, 사는 사람들을 솔깃하게 만들 수 있다면 그걸로 이미 충분하다. 맨날 입고 다니는 게 왜 저기에는 없을까 혹은 맨날 입고 다니는 걸 저기서 팔면 좋지 않을까 혹은 다른 생각 등등에서 시작했을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각자의 방식이 이제는 어느 정도 드러나 있다. 이 다음은 완성도를 높이든가, 또 다른 방식을 시작해 보든가, 이미 제시된 여러가지 방법들을 통.. 2018. 10. 1.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80 다음